재외국민 특례 전형

해외 체류 기간별 특례 입시 유형 정리: 3년 특례 vs 12년 특례

glovibes-bd 2025. 3. 2. 09:00
728x90
반응형

특례 입시는 해외에서 일정 기간 거주한 학생들이 국내 대학에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형입니다. 크게 3년 특례 12년 특례로 나뉘며, 각 유형마다 지원 자격과 전형 방식이 다릅니다. 2025학년도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

 

 

1. 3년 특례 (재외국민 3년 이상 거주자 전형)

지원 자격:

  • 부모와 함께 해외에서 연속 3년 이상 거주한 대한민국 국적자
  • 해외 학교에서 연속 3년 이상 재학한 학생
  • 부모 모두 해외에서 장기 체류하면서 학생과 동반 생활해야 함

특징:

  • 일반 전형과 경쟁률이 비슷할 정도로 높은 편
  • 대부분의 대학에서 모집하나, 서울대는 지원 불가능
  • 일부 대학에서는 필기시험(수능 또는 대학별 시험)을 요구
  • 국내 고등학교로 편입 후 지원 가능

평가 요소:

  • 내신 성적 (해외 학교 성적 포함)
  • 대학별 시험 (필요 시)
  • 면접 및 서류 평가
  • 어학 능력 (TOEFL, IELTS, TEPS 등)

지원 가능 대학: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등 주요 대학 및 일부 의대, 치대, 한의대 포함


2. 12년 특례 (재외국민 전 교육과정 이수자 전형)

지원 자격:

  • 초·중·고 전 과정을 해외에서 이수한 학생
  • 국내 초·중등학교 재학 여부와 관계없이 해외에서 12년 이상 교육을 받은 경우 인정
  • 동일 학제 내에서 12년을 이수하지 못했더라도 우리나라 학제에 맞춰 12년 이상이면 인정 가능
  • 검정고시, 홈스쿨링, 사이버학습 이수자는 지원 불가능 

특징:

  • 3년 특례보다 지원 대상이 좁지만, 경쟁률이 낮아 합격 가능성이 높음
  • 서울대 지원 가능 (3년 특례는 불가능)
  • 수능 없이 입학 가능
  • 서류 및 면접 중심의 전형 방식

평가 요소:

  • 내신 성적 (해외 학교 성적)
  • 대학별 요구 시험 (SAT, AP, IB, A-Level 등)
  • 자기소개서 및 학업 계획서
  • 면접 또는 논술 (대학별 상이)

지원 가능 대학: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등 주요 대학 및 일부 의대, 치대, 한의대 포함


3. 3년 특례 vs 12년 특례 비교

항목 3년 특례 12년 특례
지원 자격 부모와 함께 해외에서 연속 3년 이상 거주 해외에서 초·중·고 전 과정 이수
지원 가능 대학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등 (서울대 불가능) 서울대 포함 대부분 대학
경쟁률 일반 전형과 비슷하게 높음 비교적 낮음
평가 방식 내신, 대학별 시험, 면접, 어학능력 내신, SAT/AP/IB, 자기소개서, 면접
주요 특징 국내 고등학교 편입 후 지원 가능 수능 없이 지원 가능

 해외에서 12년 이상 공부했다면 12년 특례, 3년 이상 거주했다면 3년 특례를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결론

3년 특례와 12년 특례는 지원 자격과 평가 방식이 다르므로 본인의 해외 체류 기간과 목표 대학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지원 자격이 엄격하게 적용되므로 해외 체류 기록과 학제 기준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대학별 전형 방식이 상이하므로 각 대학의 입학처 공식 정보를 반드시 확인하고, 필요하면 입시 컨설팅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원 과정에서 서류 준비와 자기소개서 작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충분한 시간을 들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